색채학,칼라마케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경영경제레포트
_SLIDE_1_
`한국의 빨간색 라면,
그 비밀은 `
_SLIDE_2_
2
_SLIDE_3_
현 라면시장 현황 분석
3
_SLIDE_4_
현 라면시장 현황 분석 2
4
_SLIDE_5_
그 외 라면들
5
_SLIDE_6_
6
_SLIDE_7_
1-1 난색 자체의 특성 – 눈에 잘 띄는 색, 빨강.
우리 눈의 시세포는 물체의 자세한 모양과 색을 판단하는 원추세포, 그리고 명암을 인지하는 간상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어떤 물체가 우리 시야에 들어와 망막에 상이 맺히면 이 두 세포가 반응을 함으로서 빛의 자극을 신호로 변화시켜 뇌에서 사물을 인식하게 한다.
원추세포에는 빨간색 계열을 보는 장파장 세포인 로우세포, 노란색 계열을 보는 중파장 세포인 감마세포, 그리고 파란색 계열을 보는 단
파장 세포인 베타세포가 있다. 정상인의 경우 이들의 분포 비율은 40 : 20 : 1로 알려져 있다. 빨간색 계열…
_SLIDE_1_
`한국의 빨간색 라면,
그 비밀은 `
_SLIDE_2_
2
_SLIDE_3_
현 라면시장 현황 분석
3
_SLIDE_4_
현 라면시장 현황 분석 2
4
_SLIDE_5_
그 외 라면들
5
_SLIDE_6_
6
_SLIDE_7_
1-1 난색 자체의 특성 – 눈에 잘 띄는 색, 빨강.
우리 눈의 시세포는 물체의 자세한 모양과 색을 판단하는 원추세포, 그리고 명암을 인지하는 간상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어떤 물체가 우리 시야에 들어와 망막에 상이 맺히면 이 두 세포가 반응을 함으로서 빛의 자극을 신호로 변화시켜 뇌에서 사물을 인식하게 한다.
원추세포에는 빨간색 계열을 보는 장파장 세포인 로우세포, 노란색 계열을 보는 중파장 세포인 감마세포, 그리고 파란색 계열을 보는 단
파장 세포인 베타세포가 있다. 정상인의 경우 이들의 분포 비율은 40 : 20 : 1로 알려져 있다. 빨간색 계열의 색이 눈에 가장 잘 띄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출처- 과학동아
7
_SLIDE_8_
1-1 난색 자체의 특성 – 눈에 잘 띄는 색, 빨강.
빨간색의 이미지: 정열,사랑,식욕,저렴함,대중적이미지
눈에 잘 띄고 남녀 노소를 가리지 않으나 쉽게 식상할 수 있다.
8
_SLIDE_9_
1-2 난색 자체의 특성 – 식욕을 돋구는 색 ` 난색 `
색상이 소비자의 인식과 감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검증되면서 색상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마케팅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오렌지색은 식욕을 돋우는 컬러로 흔히 식품포장에 사용되는데, 라면 봉지는 모두 오렌지색 포장지를 사용하는 것은 그 사례이고, 노란색은 주위를 따뜻하고 즐거운 느낌을 주는 색상으로 필름의 노란색 패키지가 그런 예이며, 녹색은 풍부함, 차분한 느낌을 주는데 사이다와 같은 청량음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그 사례이다.
…(생략) -xxxx년 7월 29일 경북신문 발췌.
9
_SLIDE_10_
1-2 난색 자체의 특성 – 식욕을 돋구는 색 ` 난색 `
10
논문, `실생활에서 주로 사용하는 색과 미각의 관계에 관한 연구`, p.7 , 최형순김유진이경원, 2009.
_SLIDE_11_
1-2 난색 자체의 특성 – 식욕을 돋구는 색 ` 난색 `
11
-한국색채학회, 색색가지 세상, 도서출판 국제, 2001, pp.48-49
_SLIDE_12_
2-1 제품 자체의 이미지 – 매운 맛의 라면
12
-이영화/신재욱, 미각이미지에서 오는 색채감성의 연관성 연구, 조형미디어학, 한국일러스트학회, 2xxx, pp. 224-226.
_SLIDE_13_
2-2 제품 자체의 이미지 – 매운 맛의 라면
13
이영화/신재욱, 미각이미지에서 오는 색채감성의 연관성 연구, 조형미디어학, 한국일러스트학회, 2xxx, pp. 224-226.
_SLIDE_14_
2-3 제품 자체의 이미지 – 뜨거운 국물.
라면의 뜨거운 국물은 난색을 연상시킨다.
색에는 온도감이 있는데 빨강, 주황, 노랑, 연두, 녹색, 파랑, 하양 등의 순서로 파장이 긴 것이 난색이고 시각적으로 따뜻하게 느껴지고 식욕을 돋우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보통 파장이 짧은 쪽은 차갑게 느껴지며 신선한 느낌을 준다.
-박은희, 푸드스타일리스트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p.29.
14
_SLIDE_15_
3-3 문화적 이유 -한국 음식의 매운맛.
15
한국은 `빨강`에서 매운 맛을 느끼는 문화권에 속해있기 때문에 난색이 매운맛 라면의 이미지와 매칭이 됨.
(다른 나라의 경우: 예를 들어 이탈리아 같은 곳에서는 빨강-달콤함을 연상.)
_SLIDE_16_
3-4 문화적 이유 – 일본의 사례.
일본의 라면은 매운맛 보다는 느끼한 맛, 달콤한 맛 등 다양한 맛의 라면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보다 포장의 색이 더욱 다양하다.
16
_SLIDE_17_
17
_SLIDE_18_
예외사례 -신라면 블랙
18
_SLIDE_19_
감사합니다.
19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