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gers의 인본주의이론에 대한 분석과 주요 개념 및 시사점기타레포트

Rogers의 인본주의이론에 대한 분석과 주요 개념 및 시사점기타레포트

Rogers의 ‘완전히 기능하는 인간’

1. Rogers의 생애

Carl Rogers(1902~1987)는 인본주의 심리학의 대변자로서, 반세기동안 발달시켜온 자신의 사상들을 잘 반영하는 삶을 살았다. 그는 한 개인으로서 또 전문가로서 미지의 영역을 향해 나아가는 용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의심하는 자세를 취했으며, 변화에 깊이 개방되어 있었다. Rogers는 엄격하면서 종교적이고 윤리적인 분위기의 집안에서 6남매 중 4째로 태어났다. Rogers는 그의 가족 분위기가 친밀하고 따뜻한 관계였지만, 엄격한 종교적 규범이 있는 집안에서 자랐다. 놀이는 억제 당했으며, 청교도 윤리는 칭찬받았다. 12살 때 농장으로 이사를 했는데 이사의 가장 큰 이유는 아버지가 농장에 있고 싶은 이유도 있었지만 사춘기의 자녀들을 도시의 유혹에서 멀리 떨어지게 하고자 한 게 큰 이유였던 것 같다. 소년 시절은, 사회적인 관심보다 학문에 관심을 쏟은 외로운 시절이었다.
대학시절 초기, 그의 관심과 전공은 농학과 역사학이었다. 그러다가 대학교 2학년 때, 목사가 되기 위한 공부를 했으며, 3학년 때는 북경에서 열린 세계기독학생연합(World Student Christian Federation)회의에 참석했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경험이었다. 왜냐하면 이 경험은 그의 사고를 확장시켰으며, 사람들의 종교적 신념이 매우 다양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 주었기 때문이다. 그는 이때를 심리적으로 독립한 시기라고 생각했다. “나는 처음으로 부모의 종교적 사고로부터 크게 탈피했으며, 더 이상 부모와 같은 생각을 할 수가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의 대학원 시절도, 의심하고, 결정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그가 배웠던 종교적 교리에 대해서 의심을 품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던 그 세미나에서의 학생 지향적 수업은 그가 그 세미나를 버리고 심리학을 공부하도록 하는데 일역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유스런 field를 원했던 로저스는 다시 전공을 바꾸는데 학교에서 공부할 때 그의 관심을 끌었…(생략) 던 심리학을 공부하고자 한다. 그래서 그는 그가 다니던 신학교의 바로 길 건너편에 있는 콜롬비아대학교의 사범대학에서 다시 공부를 한다. 여기서 처음 child guidance work를 하게 되는데 이러는 동안 그는 그를 임상 심리학자로 여기게 된다.
Rogers는 1928년부터 1939년까지 로체스터 대학에 있는 Child Study Department 라는 아동폭력방지협회에서 일하게 된다. 여기에 있으면서 그는 프로이드적 역동관(dynamic Freudian view)을 가진 사람들과 접하게 되나 그는 이 프로이드적 접근과 갈등을 느끼게 된다. 이 갈등은 그에게 중요한 경험이었다고 이야기한다. 로저스는 이곳에서 어린이들과 상담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곳에서 그는 많은 것을 느끼고 배우게 되는데 좌절과 성공의 연속에서 차츰 자신의 이론과 견해를 정립시켜 나가게 된다.
1940년 로저스는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교수가 된다. 그가 그 대학으로 갈 수 있었던 이유는 『Clinical treatment of the problem child』라는 책 때문이었다. 이때부터 그는 학계에서의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그는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그 자신이 매우 독특한 견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되고, 이를 구체화시키고자 노력했다. 1940년 12월에 미네소타대학에 논문을 제출했는데 그 반응이 아주 강렬했다. 이런 일은 그 자신의 견해가 타인에게 큰 영향을 줄 수 도 있다는 첫 경험이었다. 또한 1942년에 그는 『Counseling and Psychology』라는 책을 썼는데 이 책은 상담계에 큰 반응을 불러 일으켰으며 그의 이론이 비지시적 상담이라고 불리는 계기가 된다. 1945년 로저스는 시카고 대학으로 옮겼는데 그곳에서 그의 유명한 저서 “내담자 중심치료(Client Centered Therapy)”를 발표했다. 그 후 그는 다시 위스콘신대학으로 옮겼는데 그는 그곳에서 심리학과와 정신의학과에서 강의하였으며 병원에 입원해있는 정신병환자를 연구하였다. 1964년에, 그는 캘리포니아 La Jolla에 있는 서부행동과학 연구소(Western Behavioral Sciences Institute)의 연구팀과 합류했다. 거기에서 그는 인간관계에서의 자신의 능력을 개선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을 상담했다. 여기에서 그는 1960년대의 참만남 운동을 일으키기 위해 많은 일을 했다. 1968년에는 몇몇의 동료와 함께 라욜라에 인간행동연구소(Centers For Studies of Person)을 설립하였으며 1980년대에는 그의 시간의 대부분을 인간중심 집단치료의 연구와 저술에 바쳤다.
Rogers는 심리치료에서의 인본주의 운동을 최초로 창안, 발전시켰으며, 연구를 선도했고, 심리학과 관련된 모든 영역에 영향력을 끼침으로써 세계적 명성을 얻었다. 그의 인생의 마지막 15년 동안 Rogers는 정책입안자, 지도자, 또는 갈등집단을 훈련함으로써 정치에 인간 중심적 접근을 적용하기도 하였다. 그가 가장 힘썼던 분야는 인종간의 긴장완화와 세계평화였는데, 이러한 업적으로 인해 그는 죽기 바로 얼마 전 노벨 평화상 후보에 지목되었다. Rogers는 1987년에 낙상하여 허리에 골절상을 입은 후 수술이 끝난 날 밤, 삶을 마감했다. 몇몇 회고록에서 Rogers는 85년간 그의 인생은 자신이 원하고 꿈꿔왔던 것 이상이었다고 말한 바 있다. 그는 “나는 내가 언제 죽을 것인지는 알지 못하지만 나의 85년간의 인생은 충만되고 흥미로왔다.”고 덧붙였다.
Rogers의 영향력에 대한 평가에서 Cain은 치료자와 저자와 인간은 동일한 사람이라고 기술하였다. Rogers는 가지각색의 상환에 처한 매우 다양한 인간을 다루는 그의 이론에 맞는 인생을 살았다. 그의 인간에 대한 믿음은 그의 이론의 발달과 그가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방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Rogers는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알았고, 자신의 신념에 안심했으며, 진실하게 삶 살았다. Cain에 의하면, 그는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의 속성을 가지고 있었다.

2. 인간관

로저스는 인간은 자기를 인도하고, 조절하고, 통제하는 능력이 있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적절한 조건만 제공되면 마치 씨앗이 성장하여 기능성을 발휘하는 것처럼 타고난 잠재력을 건설적으로 발달시킨다고 보았다.

가. 인본주의적 성격(인간중심주의 혹은 주체주의)
로저스는 인간을 자신의 세계에서 분리된 주체(I)로 본다. 인간은 실현(actualization)을 향한 자연적인 경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본다. 즉, 인간은 본질상 성장 지향적이며, 더 나은 진보를 고대하며, 실존적 선택에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된다. 인간의 본성은 긍정적이어서 선천적으로 부정적이거나 악한 것은 아무 것도 없다고 가정한다. 그는 사회적으로 이미 구성된 형판(mold)에 우리를 억지로 맞추기 보다는 오히려 현재의 우리를 있는 그대로 수용한다면, 우리는 우리 자신과 사회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살아갈 것이라고 주장한다.
⇔ 인간은 인류학적인 구조나 심리학적인 구조, 언어적 구조의 산물이다.

나. 현상학적 측면
현상학은 현실을 결정하는데 있어 개인의 즉각적인 의식적 경험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역시 로저스도 개인이 현실을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관한 지식이 인간행동을 이해하는데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인간 개인은 자기 자신과 주변의 세계에 관한 주관적인 인식과 일치하게끔 행동한다고 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객관적인 현실이 인간 행위의 중요 결정요인이 아니라, 오히려 우리 인간은 현실을 보는 방식에 기초해서 행동한다는 점이다. 살아가는데 진정한 현실(true reality)을 파악할 수 있는 유일하고도 확실한 길은 없다. 그러나 로저스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계속 성장하고 성취(실현)하기 위해서는 모든 정보의 수집가능성에 대한 개방성과 민감성이 필요하다고 믿는다.
⇔ 인간의 성격은 구조화된 정신이나 사회적 관계의 발생학적 산물이다.

다. 전체성
로저스는 유기체 전체를 고려해서 행동을 이해하고 설명하려고 한다. 각 행동을 단편적인 사건으로 분석하기보다는 오히려 전체적으로 기능하는 개인을 이해하려고 한다. 이는 실현경향성이라는 유일한 핵심적 에너지원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체 유기체가 유지되고 향상된다고 보고 있다.

? 인본주의 : 기본적인 본성인 성장과 성취를 추구하는 경향성을 가진 존재
→ 독립된 존재, 낙관론적 존재, 능동적 존재
? 현상학 : ‘지금 여기’ 의 체험으로 확정되는 존재
? 전체성 : 하나하나의 행동이 아닌 전체적인 입장에서 기능하는 존재

3. 주요개념

가. 현상적 장
이것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경험의 세계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실제적 사실이 아니라 개인이 그것을 어떻게 지각하는 가이다.

나. 실현경향성(actualizing tendency)
유일하고도 기본적인 인간동기로서 인간 유기체는 자신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려는 선천적인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고 간주한다. 이러한 실현경향성은 유기체의 유지(maintenance), 성장 및 성취(growth & fulfillment)하는 경향으로 전체로서의 유기체만이 이러한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인간은 출생시부터 실현을 향해 생산적으로 성장하려고 하며, 기본적으로 능동적이고 진보적이다. 이러한 실현경향성은 구체적인 행동보다는 실현이 성취되는 공통성이 중요하며 이 특성은 융통성, 개방성, 자율성이라고 한다. 이 경향성은 유기체의 유일한 핵심적 에너지원으로 전체 유기체가 유지되고 향상된다.

다. 자기와 자기실현경향성(self & self actualization tendency)
자기 또는 자기개념이란 용어는 로저스 이론의 핵심적인 개념이며, 이 때문에 “자기이론”으로 부르기도 한다. 전체적인 현상학적 장 또는 지각적 장으로부터 분화된 부분으로 나(I 와 me)에 대한 일련의 의식과 가치를 말한다. 이 자아는 성격구조의 중심이며 성격발전의 핵심이다. 자아는 유기체의 행동의 일관성을 유지하려고 한다.
유아들은 출생시에는 매우 일반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기 자신을 독특한 실체로 인식하지 못한다. 이 유아가 발달해가면서, 그리고 부모나 기타 의미있는 사람과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자기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존재함을 조금씩 인식하게 된다. 즉 아동은 “나는 … 가지고 싶어”, “나 줘”, “이건 내거야” 등과 같은 말을 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자기 지각은 처음에는 쉽게 변하는 경향이 있다. 즉 아동은 어떤 경우에는 “행복감”을 느끼다가, 곧 “불안감”을 또 금방 “공격적”인 기분 등을 느낀다. 이처럼 유아는 출생시 자신의 현상적 장이 신생아의 현실을 구성하는 감각과 지각의 통합체로부터 아직 분화되지 않은 유기체이다. 그러나 의미있는 타인들(예컨대, 아버지나 어머니)과의 상호작용이 일어남으로써 유아의 유기체적 경험의 일부가 “자기” 혹은 “자기개념”으로 분화된다. 이는 개인의 특성을 지각하고 생활에서 여러 면과 관계를 지각하며, 이러한 두 가지 지각에 대한 가치를 전체로 구성하는 개념이다.
이처럼 자기나 자기개념이 발달하게 되면, 실현경향성은 유기체에게서 표출되는 잠재력의 일부를 실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로저스는 이것을 자기실현경향성이라고 한다. 자기실현경향성은 기본적인 실현경향성의 한 하위체제로 간주된다. 즉, 유기체의 유지와 향상을 위한 일반적인 경향성이 성숙한 결과로 자기가 발달하게 된다. 이 자기가 형성되어 감에 따라 실현경향성의 일부가 자기실현으로 표출된다.

라. 유기체 (organism)
유기체란 전체 인간-신체, 정서, 지식-을 말한다. 인간은 경험에 대해 유기체적으로 반응한다. 다시 말해 어떤 자극이 있을 때 그 자극에 대하여 우리의 전 존재가 반응을 한다. 그런 의미에서 로저스는 전체적(holistic)입장을 띤다.

마. 유기체적인 가치화 과정(organismic valuing process)
유아기에는 유기체적인 가치화 과정이 매우 효율적이며 그 근거도 확실하다. 유아의 가치는 아주 명확하다. 즉 유아는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이 아주 분명하다는 것이다. 유기체를 유지, 향상(실현)시키는 경험은 선호되고 유기체를 실현시키지 않는 경험은 거부된다. 유아는 배가 고플 때는 음식물에 대해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고, 배가 부를 때는 음식물에 대해 부정적인 가치를 부여한다. 이런 긍정적인 가치는 일반적으로 “포옹”의 따스함이나 안락함과 연합되거나, 걸음마를 배우는 등 새로운 경험과 연합되며, 고통이나 갑작스런 큰 소음, 쓴 맛 등은 부정적인 가치를 부여받는다. 이처럼 유아기에는 가치부여 과정이 융통성 있게 진행되며, 부드럽게 작용한다. 이 개념은 실현경향성 개념을 보완하여 유기체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성장한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성인기에 이르면서 변화하여 유기체적인 가치화 과정과의 접촉을 상실하게 된다. 즉, 유기체적인 가치화과정과 무관하게 타인에 의한 조건부 가치에 의해 자기의 개념이 형성되고 유기체적인 가치화과정과의 접촉을 상실하게 된다.

바. 조건부 가치와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
자기가 발달하면서 개인은 사랑과 수용을 원한다. 즉, 타인으로부터의 긍정적인 관심(positive regard)을 받으려는 욕구를 가지는데 이러한 사랑과 수용의 욕구는 선천적인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들 의미있는 타인은 사랑과 수용을 제공하거나 철회함으로서 개인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들의 영향을 조건부 가치라고 한다. 이러한 영향력은 유기체적인 가치화과정의 영향력보다 더 클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아동이 사랑과 수용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부모나 기타 의미있는 사람들에게 억지로라도 공손하게 행동하며, 자기 자신의 내적 경험을 무시해야 한다. 따라서 아동은 점차적으로 개인(유기체)와는 덜 “교류”하게 되고, 점차 사회적 영향의 산물이 되어 간다. “옳고 그름”, “선과 악”이 무엇인가를 다른 사람이 결정한다면 개인의 유기체적인 가치화과정은 별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결정된 개인의 자기존중감(self-regard)이 이러한 투사된 가치들에 의해 결정된다. 이런 식으로 가치의 조건들이 발달함으로써 자신이 특정 방식으로 사고하고, 느끼고, 행동할 때에만 자기를 존중하게 된다. 이는 어떤 자기경험이 유기체적인 가치화과정에 타당한 것이라도 배제될 수 있음을 의미하고 결국 이러한 상황은 매우 건전하지 못한 것으로서, 사람이 제한적이고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기능하거나 긴장과 불안을 경험하는 부적응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기체적인 가치화과정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이 필요한데 이는 개인이 자신의 모든 자기경험이 의미있는 타인의 긍정적 관심과 동등한 가치를 가진 것으로 지각될 때에 수용된다. 즉,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위시해서 관련이 있는 모든 내외적 요인들에 대한 자신의 내적 평가에 기초하여 행동할 것인지 아닌지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4. 완전하게 기능하는 사람(the fully functioning person)

가. 개념

건강한 성격에 대한 로저스의 견해에 관하여 첫째로 주목해야 할 점은 성격이란 하나의 상태가 아닌 과정(process), 즉 “목적지가 아닌 하나의 방향”이라는 것이다. 자아실현은 계속 진행되는 것이며 결코 완성되었거나 정적인 상태가 아니다. 이런 미래 지향적인 목적을 가지고 개인은 진보하며 자아의 모든 국면을 좀더 분화시키고 발달시킨다. 로저스는 그의 저서중의 하나를 “인간 형성에 관하여” (On Becoming a Person)라고 제목을 붙였는데 이것은 과정의 계속적인 특징을 잘 요약하고 있다
둘째로 자아실현에 관하여 주목해야 할 점은 자아실현은 어려우며 때로는 고통스러운 과정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한 사람의 모든 능력을 계속적으로 시험하고 왜곡하고 촉구하는 것을 수반한다. 로저스는 “자아실현은 존재하려는 용기를 수반한다. 그것은 자신을 삶의 조류(stream of life)에 완저히 내던지는 것을 의미한다.”고 진술하였다. 그런 사람은 모든 범위의인간 정서와 경험이 몰두하며 개방되어 있고 덜 건강한 사람보다 이러한 정서와 경험을 훨씬더 깊이 느낀다.
로저스는 자아실현을 이룬 사람들이 비록 이러한 느낌을 가졌을 지라도 항상 혹은 대부분의 시간에 행복하거나 만족스럽다고 기술하고 있지 않다. 로저스는 행복을 자아실현을 추구하는데 있어서 부산물로써 간주했다. 즉, 행복은 그 자체가 목적은 아닌 것이다. 자아실현을 이룬 사람들은 삶을 풍부하고 도전적이고 의미 있게 이끌어가나 반드시 항상 웃는 것은 아니다.
셋째로 자아실현의 인간에 대하여 주목해야 할 점은 그들은 진정한 자기자신이 된다는 점이다. 그들은 가면이나 겉모습 뒤에 숨지 않고 대단한 사람인 체를 한다거나 그들 자신의 어떤 부분을 숨기지 않는다. 그들은 행동에 관하 규범을 따르지 않으며 상황에 따라 각각 다른 성격을 나타내 보이지도 않는다. 그들은 사회나 부모로부터 부여된 기제나 억압에 구속받지 않고 이런 규율을 벗어나 성장해 간다. 로저스는 자아실현을 이룬 사람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제시된 규범에 따라 살아간다고는 믿지 않는다. 방향선택과 행동표출은 오로지 자기 자신에 의해서 결정된다. 자아가 성격의 주인이고 다른 사람들에 의해 규정된 규범과 별개로 행동한다. 그러나 자아실현을 이룬 사람들은 반항적이지 않으며 부모나 사회가 제시하는 것에 대해 공공연히 공격적이거나 고의적으로 관습에 반대하지 않는다. 그들은 사회의 광범위한 규약과 지침의 테두리안에서 개체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인정한다.

나. 훌륭한 삶이 가지는 특성

1) 체험에 대해 개방적이다.
자신의 경험에 완전히 개방적일 수 있으면 모든 자극은 방어 기제에 의해 왜곡되지 않은 채 신경 체계를 통해 자유롭게 전해진다. 즉, 자신의 감정을 민감하게 인식하고 억압하지 않으며, 체험에서는 완전히 개방적인 사람이 그 자신을 들을 수 있으며, 자기의 내면에서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체험할 수 있다.
⇒ 체험에 대한 어떠한 방어기제도 작동하지 않는다.

2) 매순간 충실하게 산다.
즉 실존적인 삶을 산다. 실존적인 삶이란 인간이 존재의 매순간을 충분히 만끽하며 사는 것을 뜻한다. 현재의 자기나 미래의 자기는 그 순간으로부터 나오며, 사전에 예측될 수 없으므로, 실존적 삶에서 개인의 자아와 성격은 경험으로부터 나타난다. 이는 유기체적인 경험에서, 지속적인 과정의 참여자이며, 관찰자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 자기와 경험간의 간극은 줄어 들고 일치된다.

3) 실존적 상황에서 가장 만족스러운 행동에 도달하는 방법으로 자신을 신뢰한다.
자기 체험에 개방적인 사람은 그의 행동이 의도하는 모든 정보를 가능한 많이 입수할 것이다. 그 결과 그는 현재 상황에서 욕구를 최대로 만족시키는 행동이 나온다.

4) 자유롭다.
사람이 심리적으로 건강할수록 선택이나 행동에 자유로움을 체험한다고 로저스는 확신하였다. 다시 말해서 건강한 사람은 억제나 금지 없이 생각과 행동 과정의 대안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5) 창조적이다. 창의적이고 자발적인 사람은 사회문화적 구속에 동조하거나 수동적으로 적응하지 않고, 자기 실존의 영역에서 독창적인 사고력과 창조적인 삶으로 스스로를 표현할 줄 안다.

훌륭한 삶의 과정이 공통적으로 갖는 특징의 도식화

심리적으로 건강함 심리적으로 건강하지 못함

A B C A B C

자기 경 험 자기 경 험

로저스는 자기 개념과 경험을 의미하는 두 개의 원이 중복될수록 심리적으로 건강하다고 보았으며, 이런 사람을 `충분히 기능하고 있는 인간(fully functioning person)으로 불렀다. 즉 이런 상태는 경험에 대해서 열려있는 상태(open to experience)라고 말할 수 있다.

다. 평가
첫째, 인도주의적 입장에 근거하고 있는 로저스의 인간에 대한 낙관주의와 선천적 성선에 대한 그의 신념은


게시됨

카테고리

작성자

태그: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